라즈베리파이 OS 설치하기
참고자료
라즈베리 파이 Home Page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에서 zip 파일을 Download받는다.
라즈베리파이 OS(Raspbian)을 micro SD에 먼저 설치해야 한다.
Img 파일 Write Tool -> "Win32 Disk Imager" 또는 "Etcher", "SD Formatter 4.0" 사용

[참고]
SD 카드에 "ssh"라는 파일을 저장하고, 부팅하면 SSH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ssh"파일은 확정자도 없고, 내용도 필요없다. 파일의 존재만으로 SSH가 활성화 된다.
단, SSH를 활성화한 이후에는 "ssh"파일은 삭제된다.
유선랜이 연결되어 있다면, "IP Scanner"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라즈베리파이의 IP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방법을 사용하면, 파즈베리파이를 최초 부팅할때 USB keyboard와 Mouse, 모니터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부팅 후 설정하기.
- Generic 105-Key(intel) PC
- Other
- Korean
- Korean- Korean(101/104 key compatible)
- No compose key
- yes
* pi 계정의 암호를 설정한다.


* SSH Server를 Enable한다.


* 파일 시스템을 확장한다.(기본은 3.7G만 사용하고 있다.)



전체 용량이 15G에서 4.2G를 사용하고, 9.9G가 남았다.
* 계정 생성 및 Super User 권한 부여
- sudo adduser khjung
* 계정 삭제(Home 폴더 포함 모두 삭제)
- sudo vi /etc/sudoers
*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최신으로 update한다.
* apt-get 명령어 사용법
* 한글 설정 및 Local 설정.
-> 참고.
* Samba설정
먼저 사용자는 계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adduser"명령으로 계정이 생성되어야 한다.
각 사용자별 접속 설정을 기술한다.
windows 메일 서버 설치
라즈베리 파이 Home Page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에서 zip 파일을 Download받는다.
라즈베리파이 OS(Raspbian)을 micro SD에 먼저 설치해야 한다.
Img 파일 Write Tool -> "Win32 Disk Imager" 또는 "Etcher", "SD Formatter 4.0" 사용

[참고]
SD 카드에 "ssh"라는 파일을 저장하고, 부팅하면 SSH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ssh"파일은 확정자도 없고, 내용도 필요없다. 파일의 존재만으로 SSH가 활성화 된다.
단, SSH를 활성화한 이후에는 "ssh"파일은 삭제된다.
유선랜이 연결되어 있다면, "IP Scanner"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라즈베리파이의 IP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방법을 사용하면, 파즈베리파이를 최초 부팅할때 USB keyboard와 Mouse, 모니터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부팅 후 설정하기.
- Generic 105-Key(intel) PC
- Other
- Korean
- Korean- Korean(101/104 key compatible)
- No compose key
- yes
* pi 계정의 암호를 설정한다.
$ sudo raspi-config



* SSH Server를 Enable한다.
$ sudo raspi-config




* 파일 시스템을 확장한다.(기본은 3.7G만 사용하고 있다.)
$ sudo raspi-config






전체 용량이 15G에서 4.2G를 사용하고, 9.9G가 남았다.
* 계정 생성 및 Super User 권한 부여
- sudo adduser khjung
$ sudo adduser khjung- 암호 입력, 암호 확인.
* 계정 삭제(Home 폴더 포함 모두 삭제)
$ sudo userdel -r khjung
- sudo vi /etc/sudoers
...
#includedir /etc/sudoers.d
pi ALL=(ALL) NOPASSWD: ALL
khjung ALL=(ALL) NOPASSWD: ALL
readonly로 되어있기 때문에 "w!"로 강제 저장해야만 한다.*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최신으로 update한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또는
$ sudo apt-get update -y && sudo apt-get upgrade -y
* apt-get 명령어 사용법
$ sudo apt-get update -> 패키지 인덱스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 sudo apt-get upgrade -> 설치된 패키지를 업그래이드 한다.
$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 -> 패키지를 설치한다.
$ sudo apt-get --reinstall install 패키지 -> 패키지를 재설치한다.
$ sudo apt-get remove 패키지 -> 패키지를 제거(삭제)한다.
$ sudo apt-get autoremove 패키지 -> 자동으로 관련된 패키지 모두를 삭제한다.
$ sudo apt-get --purge remove 패키지 -> 패키지 설정파일까지 모두 삭제한다.
$ sudo apt-get source 패키지 -> 패키지 Source Code를 download 받는다.
$ sudo apt-get build-dep 패키지 -> 앞서 받은 소스 코드를 의존성 있게 Build한다.
$ sudo apt-cache search 패키지 ->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 검색한다.
$ sudo apt-cache show 패키지 -> 패키지 정보를 보여준다.
* 한글 설정 및 Local 설정.
-> 참고.
* Samba설정
$ sudo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삼바 사용자를 등록한다.먼저 사용자는 계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adduser"명령으로 계정이 생성되어야 한다.
$ sudo smbpasswd -a user
사용자의 삼바용 Password를 생성한다.각 사용자별 접속 설정을 기술한다.
$ sudo vi /etc/samba/smb.conf
각 사용자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추가한다.[user]
path = /home/user
comment = Welcome to Raspberry Pi.
valid user = user
writable = yes
browseable = yes
create mask = 0700
directory mask = 0755
삼바를 다시 실행한다.$ sudo service smbd restart
[ Windows 10 IoT 설치 방법 ]
참고 사이트[ 메일 서버 설치하기 ]
참고 사이트windows 메일 서버 설치
댓글
댓글 쓰기